맨위로가기

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HVO)는 1992년 4월 헤르체그보스니아의 공식 군사 조직으로 설립되었다. 주로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당원들로 구성되었으며,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과 대립했다. 1994년 워싱턴 협정으로 전투가 종식되었고, 1996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통합되어 해체되었다. HVO는 보슈냐크인 민간인에 대한 만행으로 비판받았으며, 다수의 정치·군사 지도자들이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군사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 중 1992년 4월 15일에 창설되어 초기 어려움 속에서도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며 조직을 정비하고,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와의 전투와 워싱턴 협정 체결, NATO 개입과 크로아티아군 지원을 통해 전세를 역전시켜 데이턴 협정 체결을 이끌었다.
  • 보스니아 전쟁 - 데이턴 협정
    데이턴 협정은 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1995년 체결된 평화 협정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스릅스카 공화국이라는 두 주체로 구성하여 현재까지 정치적 구조와 영토 구성을 규정한다.
  • 보스니아 전쟁 - 워싱턴 협정
    워싱턴 협정은 1994년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키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수립하기 위해 체결한 협정으로, 미국의 주도적인 외교적 노력으로 성사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발족의 계기가 되었다.
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
개요
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 로고
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 로고
명칭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
로마자 표기Hrvatsko vijeće obrane
약칭HVO
연혁
창설1992년 4월 8일
해체1996년 3월 1일 (명목상), 2005년 12월 (실질적)
활동 기간1992년 ~ 2005년
조직
규모50,000명 (1995년)
본부모스타르
지휘부
주요 지휘관밀리보이 페트코비치
브루노 스토이치
블라디미르 숄리치
슬로보단 프랄랴크
안테 로소
티호미르 블라슈키치
주요 지도자마테 보반
밀리보이 페트코비치
야드란코 프를리치
지원 및 적대 세력
지원 세력크로아티아 공화국군 (HV), 1994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 (ARBiH)
적대 세력유고슬라비아 연방군, 스릅스카 공화국군 (VRS), 1992년부터 1994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 (ARBiH), 서보스니아 자치주 국민방위군 (NOZB), 크라이나 스르프스카 공화국군 (RSK)
주요 참전
참전 전투유고슬라비아 전쟁
보스니아 전쟁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
오페라치야 올루야 (1995년부터)
기타
관련 문서크로아티아 방위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군

2. 역사

1991년 11월 18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의 마테 보반과 다리오 코르디치가 이끄는 강경파는 "헤르체그-보스나 크로아티아인 공동체"를 선언했다. 이 공동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 내에서 정치, 문화, 경제, 영역적으로 독립된 존재로 간주되었다. 1992년 4월 8일 구르데에서 헤르체그-보스나 크로아티아인 공화국의 군사 조직으로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가 결성되었다.

1992년부터 1994년 워싱턴 협정 체결 전까지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는 헤르체그-보스나 지역을 크로아티아 본국에 편입시키기 위해 라슈바 계곡의 민족 청소 등 보슈냐크인 시민들을 대상으로 만행을 저질렀다. 또한 보슈냐크인과 세르비아인 시민 및 병사를 강제 수용소에서 학대했다.

1994년 미국의 중재로 워싱턴 협정이 체결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과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 간의 전투가 중단되었다. 헤르체그보스나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보스니아 측과 통합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이 되었으며, 이후 스플리트 협정을 통해 크로아티아 공화국군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내로 진입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폭풍 작전의 성공으로 이어져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공화국이 제압되고, 20만 명의 세르비아인 주민은 크로아티아에서 추방되었다.

1995년 11월 21일,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에서 데이턴 협정이 체결되어 보스니아 전쟁이 종식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스릅스카 공화국으로 구성되게 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과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군의 두 구성 요소가 되었다.[4] 2005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군과 스릅스카 공화국군이 통합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군이 되면서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는 해체되었다.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는 4개의 작전 구역(남동 헤르체고비나, 북서 헤르체고비나, 중앙 보스니아, 포사비나)으로 나뉘어 있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군사 변천
1992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 방위군(TORBiH)
1992년-1995년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스릅스카 공화국군(VRS)
1995년-2006년보스니아 연방군(VFBiH)
2006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군 (OSBiH)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의 정치적・군사적 지도자 다수가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야드란코 프를리치(Jadranko Prlić) 등은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에서 인도에 반하는 죄, 제네바 협약 위반, 전시 국제법 위반 등의 "전쟁 범죄"로 기소되었다. 티호미르 브라슈키치(Tihomir Blaškić) 등은 유죄 판결을 받았고, 슬로보단 프랄랴크(Slobodan Praljak)는 판결 직후 법정에서 독극물 자살했다.

2. 1. 설립 배경

1991년 3월, 크로아티아 대통령 프라뇨 투지만과 세르비아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카라조르제보 회담을 통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할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독립을 선언하자, 세르비아인 세력은 이에 반대하며 무장 공격을 개시했고, 보스니아 정부는 영토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다. 프라뇨 투지만은 크로아티아계 주민 거주 지역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분리하여 크로아티아에 통합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보스니아 분쟁에 개입했다.[1]

2. 2. HVO 창설과 활동

1991년 11월 18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HDZ)의 강경파 마테 보반과 다리오 코르디치는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 공동체를 선언했다. 이 공동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에서 정치, 문화, 경제, 영역적으로 독립된 존재로 간주되었다.

1992년 4월 8일, 그루데에서 헤르체그보스니아의 공식 군사 조직으로 크로아티아 방위 평의회(HVO)가 설립되었다. HVO는 주로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당원들로 구성된 크로아티아 정치 지도부에 의해 조직되었다. 1992년 5월 15일에는 HVO 국방부가 설립되었고, HVO 본부, 주요 물류 기지, 헌병대, 인사 행정 조직도 구성되었다.

보스니아 전쟁 초기, HVO는 보슈냐크인 세력과 협력하여 세르비아인 세력에 맞섰다. 그러나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 대통령 간의 카라조르제보 회담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할 협상이 이루어지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투지만은 크로아티아인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을 크로아티아에 통합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크로아티아인과 보슈냐크인 간의 무력 충돌(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로 이어졌다.

HVO는 크로아티아와 크로아티아 방위군의 지원을 받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과 대립했다. 이 과정에서 HVO는 라슈바 계곡의 민족 청소와 같은 만행을 저지르며 보슈냐크인 민간인을 학살하고 강제 수용소에 가두는 등 인종 청소를 자행했다.

1994년 3월, 워싱턴 협정이 체결되면서 HVO와 ARBiH 간의 전투는 종식되었다. 1996년 3월, 헤르체그보스니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통합되었고, HVO는 ARBiH의 제1 보병 (근위) 연대로 재편성되었다.

2. 3. 워싱턴 협정과 데이턴 협정

1994년 미국의 중재로 워싱턴 협정이 체결되어 크로아티아 방위평의회(HVO)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 간의 전투가 중단되었다.[4] 헤르체그보스니아는 보스니아 측과 통합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이 되었다. 이 협정은 보스니아 대통령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와 크로아티아 대통령 프라뇨 투지만스플리트 협정으로 재확인되었으며, 크로아티아 공화국군이 세르비아 세력과 싸우기 위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내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했다.

1995년 11월 21일,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에서 데이턴 협정이 체결되어 보스니아 전쟁이 종식되었다.[4] 이 협정에 따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스릅스카 공화국 두 개의 구성체로 나뉘었다. HVO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군의 일부가 되었다가,[4] 2005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군으로 통합되면서 해체되었다.

3. 조직

HVO는 모스타르에 본부를 두었으며, 남동부 헤르체고비나, 북서부 헤르체고비나, 중앙 보스니아, 포사비나의 4개 군단급 작전 구역(OZ)으로 나뉘었다. 처음 3개 구역은 서로 인접해 있었지만, 포사비나는 보스니아 북부 사바강 우안, 오라셰 주변에 완전히 고립되어 크로아티아의 지원에 의존했다. 각 OZ는 8~14개의 보병 여단, 군사 경찰 대대, 경공격 대대를 통제했다. HVO에는 정규군으로 구성된 안테 브루노 부시치 연대, 2개의 독립 보병 대대, 경대공포 대대, 특수 부대, 포병 부대도 포함되었다.

1993년, 안테 로소 장군은 크로아티아군(HV)의 구조를 따라 HVO를 재편성했다. 4개의 작전지구(OZ)는 모스타르, 토미슬라브그라드, 비테즈, 오라셰 군관구로 지정되었다.

3. 1. 부대 구성

HVO는 모스타르에 위치했으며, 4개의 군단급 작전 구역(OZ)으로 나뉘었다. 각 OZ는 8~14개의 보병 여단, 군사 경찰 대대 및 MP "경공격 대대"를 통제했다. HVO에는 정규군으로 구성된 안테 브루노 부시치 연대, 2개의 독립 보병 대대, 경대공포 대대, 특수 부대 및 포병 부대도 포함되었다. 1993년 초에는 HVO 향토 방위군이 창설되었다.

HVO는 4개의 친위 여단을 보유했는데, 이들은 HVO의 중화기를 다루는 부대였다. HVO는 약 50대의 전차, 400문의 포병, 200대의 장갑 수송차량을 보유했다.[1] 친위 여단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 친위 여단 "브루노 부시치"
  • 2. 친위 여단
  • 3. 친위 여단 "호크스"
  • 4. 친위 여단 "포사비나의 아들들"


HVO는 예비군으로 구성된 38개의 보병 여단을 보유했다. 각 여단은 3~4개의 대대와 지원 부대로 구성되었다. 107여단과 109여단은 무슬림 다수 구성원 때문에 나중에 대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육군(ARBiH)으로 이전되었으며, 108여단의 무슬림 병력도 ARBiH의 108 기계화 여단을 구성하기 위해 합류했다. 107여단은 ARBiH의 107 "기사도" 여단이 되었고, 109여단은 109 산악 여단이 되었다.[2]

HVO 항공군 및 대공포병은 1992년에 창설되었다. 헬리콥터와 수송기를 운용하는 제11 혼성 비행대대, 관측 및 통신 임무를 수행하는 제121 관측 비행대대, 여러 종류의 SAM(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운용하는 제14 대공 미사일 부대로 구성되었다.[3]

4. 지휘관

기간계급이름
1992년 4월 – 1993년 7월준장밀리보이 페트코비치
1993년 7월 – 11월소장슬로보단 프랄략
1993년 11월 – 1994년 4월중장안테 로소
1994년 4월 – 1994년 8월소장밀리보이 페트코비치
1994년 8월 – 1995년 11월소장티호미르 블라슈키치


5. 전쟁 범죄

HVO는 라슈바 계곡의 민족 청소 등 보슈냐크인 민간인에 대한 만행을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는다. HVO의 정치적, 군사적 지도자 다수가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에서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다음은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에서 판결이 내려진 주요 기소자들이다.

이름판결 내용
야드란코 프를리치(Jadranko Prlić)기소
브루노 스토이치(Bruno Stojić)기소
밀리보이 페트코비치(Milivoj Petković)기소
발렌틴 초리치(Valentin Ćorić)기소
베리슬라브 푸시치(Berislav Pušić)기소
티호미르 블라슈키치(Tihomir Blaškić)유죄
므라덴 날레틸리치(Mladen Naletilić)유죄
빈코 마르티노비치(Vinko Martinović)유죄
브라트코 쿠프레시치(Vlatko Kuprešić)무죄
조란 쿠프레시치(Zoran Kuprešić)무죄
미랸 쿠프레시치(Mirjan Kuprešić)무죄
드라고 요시포비치(Drago Josipović)유죄
드라간 파피치(Dragan Papić)유죄
블라디미르 산티치(Vladimir Santić)유죄
즈라트코 아레스코프스키(Zlatko Aleskovski)징역 7년, 조기 석방 인정
미로슬라브 브랄로 치치코(Miroslav Bralo Cicko)유죄
안토 푸룬지야(Anto Furundžija)징역 10년, 조기 석방 인정
다리오 코르디치(Dario Kordić)유죄
마리오 체르케즈(Mario Čerkez)유죄
조란 마리니치(Zoran Marinić)기소 취하
슬로보단 프랄랴크(Slobodan Praljak)징역 20년, 판결 직후 법정 내에서 독극물 자살



이들은 인도에 반하는 죄, 제네바 협약의 중대한 위반, 그리고 전시 국제법 위반과 같은 "전쟁 범죄"로 기소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Ustroj Hrvatskog vijeća obrane (HVO) 1995 http://www.vojska.ne[...] 2023-11-11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roat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3] 웹사이트 ITCY http://www.un.org/ic[...] 국제연합 2008-12-15
[4] 서적 ボスニア内戦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とカオスの民族化 有志舎 2008-03-20
[5] 웹사이트 ICTY: Naletilić and Martinović verdict - A.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un.org/ic[...] 2008-12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roatia https://books.google[...]
[7] 웹인용 ITCY http://www.un.org/ic[...] 유엔 2008-12-15
[8] 서적 ボスニア内戦 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とカオスの民族化 有志舎 2008-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